반응형

불광역 부근에 사시는 지인 분께 설참치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지 어언 2년이 흐른 현재, 그 유명하다던 설참치를 찾아 갈 줄이야. 모든 기회와 상황은 나를 위해, 내가 설참치를 가기 위해 만들어 졌다. 되는 일은 이렇게 잘 풀리나 보다 싶었다.

일요일 부랴부랴 합정역에서 전철을 타고 불광역에 있는 설참치를 향한다. 고급 참치 전문점을 향하는 나의 발걸음은 바다를 종횡무진하는 한 마리의 참치 같았다. 내 인생에서 3만원 짜리 참치가 최고였는데 이 날 설참치를 방문하고 난 후 인생최상을 갈아 치웠다. 5만원 짜리 참치의 맛으로 함께 떠나 보자.

 

찾아가는 길, 설참치 외관

가는 길은 6호선 불광역 1번출구 바로 앞 먹자골목으로 가면 된다. 쉽게 찾을 수 있다. 날씨도 춥고 귀찮기도 해서 차를 타고 갈까 갈등했지만 불광동 가는 국도가 구불구불해서 그냥 지하철을 타고 가기로 했다. 1번 출구 바로 앞이라 지하철에서 내려 바로 음식점에 들어 가서 편리하고 좋았다.

1번 출구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몇걸음 더 걸어서 바로 좌측 음식점 거리로 보면 이렇게 설참치

간판, 설참치 건물이 보인다.

개업 10주년을 맞이하는 설참치 룸이 15개가 있고 참치회는 최저 28000원부터 있다.

물론 주차도 가능하다.

 

 

내부 인테리어, 분위기 

내부 식사할 수 있는 좌석은 1층, 지하, 2층이다. 1층은 테이블이 있고 지하는 크기가 각기 다른 룸이 몇개 있다. 우리는 지하에 있는 룸에 안내 받았다. 1층의 모습은 홀에 앉자 식사하시는 분들이 많아 촬영이 어려웠다.

 

 

지하층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인테리어는 역시 회 하면 일식, 일본풍의 소품들로 장식되어 있었다.

 

아래는 룸의 모습 및 기본 테이블 세팅의 모습이다.

 

메뉴와 가격 

메뉴는 크게 점심메뉴, 참치회메뉴, 주류로 구분된다. 우리는 저녁에 방문했으니 당연히 참치회 메뉴 중 스페셜로 주문했다. 그리고 맥주도 한잔.

 

음식모습과 맛 

자리하자 마자 한상 가득히 채워졌다. 먹음직한 참치 한접시와 스끼다시가 제공되었다. 간장새우와 롤이 에피타이져로서 식욕을 자극했다.

 

나의 지론은 무한리필집은 가지 않는 것.

고기나 참치나 마찬가지 무한으로 많이 주는 곳은

음식의 질이 떨어지지 않겠는가? 무한으로 많이 주지 않더라도

충분히 배부르고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여기 참치집에서도 참치로 원없이 배를 채울 수 있다. 질 좋은 참치로 말이다.

 

아래 사진처럼 첫 판이 나왔다.

첫 판은 에이스가 나오는 법. 참치 중 고급부위가 5종류로 채워져 나왔다.

배꼽살, 등살, 가마살 등등 참치부위 중 부드러운 부위가 입 속에서 녹아 들어갔다.

 

금새 먹고 벨을 눌러 참치가 고프다는 메세지를 전했다.

두번 째 판은 머릿살이다.

뱃살이 식감이 있고 머릿살은 덜 할 거라는 편견은 편견일 뿐

머릿살도 부드럽고 각자의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중간에 이렇게 참치머릿살 구이가 나온다. 발라먹을 살이 많다.

 

참치가 3번째로 등장하여 나를 KO시켰다.

이렇게 맛있는 참치로 배를 채울 수 있다니 오늘이 나의 생일인가? 이것은 나의 생일상인가?

 

맛있는 참치는 이제 더이상 나의 것이 아니었다.

이제부터는 식사에 들어간다. 내 배 속에 참치 자리와 식사자리는 따로 있나 보다.

튀김이 바삭하고 따뜻해서 맛있다.

 

식사는 매생이+맛기 또는 우동+맛기로 제공되는데

나는 우동+맛기 세트로 주문했다.

아래의 모습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달달한 배 한 조각으로 나의 맛집여정은 막을 내린다.

 

참치가 웬 말이던가. 기껏해야 삼겹살, 어떤 운수좋은 날은 소고기를 먹던 내가 참치집엘 다 가고 정말 오늘은 운수 좋은 날이다. 항상 긍정적인 사고와 인생에 대한 열정을 잃지 마라는 신의 달달한 응원으로 힘이 불끈 났다.

배가 너무 부른 나머지 집에 바로 가지 않고 인근 NC백화점에 들려 쇼핑을 했다. 저 멀리서 불광역에 있는 설참치를 방문하신다면 근처 방문꺼리도 한번 연동하셔서 다양한 경험을 하시면 좋을듯.

 

 

 

 

반응형

 

 



 



 

반응형

중국시장의 변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읽다.

- G2의 보호무역 강화 움직임

- 중국의 자국산업(업체) 육성정책 노골화

- 전기차 배터리 시장 인증 문제로 사면초가의 한국기업들-LG화학, 삼성SDI

세계 경제, 군사, 정치적 거물 G2(Group of 2)라 불리우는 중국과 미국의 우경화, 보수주의, 국수주의로의 지향에 따라 각국이 대응책을 고심해야 할 중요한 시기가 도래했다. 사실상 두 강대국을 향해 대응한다기 보다는 살아갈 방법을 모색한 표현이 적합할 것이다.

미국은 최근 트럼프의 당선으로 보호주의 무역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이것이 현실화 된다면 따라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클 것이다. 트럼프가 공언한 경제, 정치적 정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2016/11/09 - [세상사는 이야기] - [미국대선] 트럼프 공약이 우리나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보다는 중국시장, 그 가운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방점을 두고 이야기를 풀어 가고자 한다.

중국은 최근 반덤핑 규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지난 9월 한국산 설탕에 대한 조사를, 10월에는 화학제품 중 하나인 폴리아세탈(자동차 부품, 공업기계, 건축재료에 사용-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에 대해 조사했다. 11월에는 태양광재료인 폴리실리콘에 대해 조사를 벌인다는 발표를 했다. 폴리실리콘 역시 중국 수입시장 1위이다. 조사 이후 중국정부에서 관세를 올릴 경우 한화케미칼, OCI 등의 제조사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연예계 역시 마찬가지이다. 한국의 연예인이 중국 공연을 하려면 중국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지난 10월부터 한류스타의 승인은 없었다.

이런 최근의 분위기가 사드배치의 후폭풍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한국의 무역에 대해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다. 중국은 한국 전체 수출의 1/4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다. 이런 중국이 한국을 견제/압박하며 자국의 산업을 육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중국내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더욱 노골적으로 자국 업체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다. 중국의 입장에서는 자국의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자국 업체가 주도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하고 이를 중심으로 모든 정책/규제를 양산해 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수출/수입의 파워가 압도적 우위에 있는 중국에게 강한 항변 한번 하지 못한 채 눈치만 보고 있는 것이 한국의 대기업이자 한국정부의 현실이다.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정책은 모범인증을 통해 좌지우지되고 있다. 이 인증에 배터리 세계점유율 1위 업체인 LG화학부터 3위 삼성SDI까지 불합격의 고배를 마셨다. 물론 일본업체인 파나소닉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유일하게도 중국업체(세계 6위)인 BYD가 인증에서 합격을 받았다. 인증기준은 BYD만이 가지고 있는 중국 내 배터리 생산능력이다. BYD는 12단위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인증기준은 8단위 생산능력 이상이다. 이 케파를 가지고 있는 업체는 이곳 뿐이다. LG화학의 중국공장 생산능력은 3단위 뿐이다. 8단위 능력까지 생산설비 증설을 한다 해도 중국의 이러한 국수주의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격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농후한 가운데 산업의 방향성을 잃고 패닉상태에 빠져 있다.

인증을 못받는다고 해서 배터리 판매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배터리 값의 90%에 달하는 보조금 지급을 못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보조금을 받는 중국업체를 당해낼 재간이 없을 것이다. 끝없이 장미빛 미래를 보장받을 것만 같았던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이렇게 된서리를 맞게 될 줄 그 누가 상상이라도 했겠는가?

중국시장을 보고 중국공장을 세운 LG화학과 삼성SDI는 발을 빼지도 넣지도 상황에 놓여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최순실 게이트로, 사드배치로 냉각된 중국과의 관계를 풀어나갈 동력이나 구심점이 없다. 중국시장에 철의 장벽이 쌓이고 있다. 그 장벽을 넘거나 무너트려야 한국이 살 수 있다. 초강대국 중국을 유혹할 수 있는 뭔가가 절실한 시점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