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주말 나타난 ‘최저 임금님’. 컵라면, 삼각김밥 등 자신의 생계를 근근이 이어 주는 편의점의 대표 음식 삼각김밥, 컵라면을 형상화한 탈을 쓰고 거리를 나선 청년세대. 그들의 임금님인 최저임금을 올려 달라고 세상에 외치며 거리를 다녔습니다.


얼마 전에 치뤘던 총선에서 여야 할 것 없이 각 당에서는 시급을 1만원으로 책정하겠노라고 앞다투어 공약하였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실은 어떻습니까? 경영계를 대변하는 정부, 여야 정치권에서는 어려운 경제사정을 연일 강조하면서 시급 6030원의 동결을 주장/관철하고 있습니다. 시급 6030원*하루 8시간*30일=1,447,200원. 쉬는 날 없이 하루 8시간을 한달 꼬박 일해 손에 쥘 수 있는 돈이 145만원 남짓입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쉬는 주말을 제외하면 대략 월126만원을 벌수 있죠.


통계청 발표 2016년 기준 도시1인가구 월 지출액은 188만원입니다. 도시에 살면서 도시 1인 근로자가 평균적으로 쓰고 살아 가는데 필요한 돈이 188만원이라는 뜻입니다. 또한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직접 조사한 1인 가구 월 생활비는 150만원. 이 역시 최저임금 급여수준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 최저임금 유지를 고수해야 하는 경영계 쪽의 주장은 다릅니다. 정부의 자료를 신뢰할 수 없다는 뜻인가요? 그들이 주장하는 미혼 단신노동자의 실질생계비는 103만원. 최저임금으로도 충분히 생계유지가 가능하며 남는 돈으로는 저축까지 가능할 정도입니다.


성장을 위해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을 펼쳤고, 그래서 대한민국의 경제가 이만큼 성장한 것도 사실입니다. 햇빛이 강했던 만큼 그 이면에는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 졌고, 그림자에 가려진 서민들의 삶은 각박해 져만 갔습니다. 이만큼 성장한 이후 분배를 논하자는 것도 아니고 최저 생활을 할 수만 있도록 보장해 달라는 서민들의 목소리를 정계와 경영계는 외면할 것입니다. 이런 대한민국이 그 누구의 인권을 논할 수 있나요?

자국의 인권, 자본주의의 그늘 속에서 시름하는 이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길은 최저임금의 현실화입니다. 모두들 최저임금과 최저임금 인상에 목말라 하는 이들을 생각해 봅시다.


사진출처 : jtbc 뉴스룸

반응형

 

 



 



 

반응형

주요기사를 간추려 링크하였습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밑은 저의 의견을 기재하였습니다.

 

 

거침없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 15% 뚝…25일 가계빚대책 촉각

한국인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 단순한 거주공간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단독주택 등 다양한 주거형태가 있긴 하지만 워낙 아파트 비중이 크기 때문에 아파트 거래량이라는 통계에 촉각을 곤두세워 보는 까닭은 내 집, 내 보금자리에 위기가 올 수도, 행복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8.25일 한국은행의 가계부채 동향을 발표하면서 이와 관련 정부의 대책이 아무래도 주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겠는냐라는 관측이 있다.

 

 

너무 비싼 '팝콘'..김치만두·컵라면까지 반입

 경기가 어려워져 주머니 사정이 여이치 않는데 영화는 보고싶고, 영화볼때 먹거리라도 아껴보자 하여 영화관 팝콘 대신 편의점 팝콘과 콜라를 사가는 추세이다. 경기 문제도 있지만 그만큼 극장에서 파는 음식이 비싸 수익을 많이 남겼지만 이제는 그 수익이 줄어드는 추세로 해석할 수 있다.

 극장의 수익은 점점 줄어드는 반면, 편의점의 수익은 이러 저러한 현상으로 수익이 늘어날 전망이다. 각종 문화상품권, 통신사 할인 등을 통한 마케팅 수단의 진화와 편의점도시락의 열풍, 혼밥족의 증가 추세에 편의점은 미래가 밝다.

 

 

 

월 200만원 벌면 1억 모으는데 42년?.."허탈"

월 100만원인 월급쟁이건 200만원인 월급쟁이건 현실은 현실이다. 독하게 모으고, 독하게 벌어야 한다. 여유는 없다. 자본주의를 인정하는 순간 돈과의 전쟁이 시작된 샘이다. 이 거대한 자본주의 국가 대한민국에서 살아 가려면 독해지는 수밖에 없다. 범죄 빼고는 죄다 해야 한다. 창피한가? 돈 없는 설움이 더 고통스럽다.

악착같이 이겨내자. 최대한 벌고, 최소로 쓰자. 그렇게 피와 땀을 흘려가며 이 자본주의를 살아가자. 힘들다고 포기하고, 어렵다고 그만 두지 말자. 노력하는 곳에 언젠가 기회는 찾아올 것이다. 이 땅의 모든 젊은이들이여 저기 고지가 있다. 앞으로 가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