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기사를 간추려 링크하였습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밑은 저의 의견을 기재하였습니다.

 

일은 많지만 돈은 적게 받는 직업군은?

근로시간은 짧지만, 임금이 높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분야

<부동산업 및 임대업>, <숙박 및 음식점업>은 근로시간은 긴 편이었지만 임금은 낮은 편

근로시간은 짧은 편이지만 보수는 괜찮은 직업은 <교육서비스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자료출처는 고용노동부가 2016년 1/4분기 사업체노동력조사 현황인데 사실 조금 왜곡이 있는 것도 있어요.

부동산 및 임대업의 경우 가게문을 열고 대기하는 시간이 많은 편이며, 주말에 일하는 유무에 따라 다른 가중비 비중도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 자료를 가지고 일반화시키기에는 현실과는 너무 괴리감이 있어 보입니다.

근로시간 대비 돈 안되는, 임금 낮은 직군이 서빙인건 맞는 것 같습니다.

 

은행 보안카드·OTP 사용의무 이달 말부터 폐지

이런 기사가 나오면 먼저 드는 생각이 '또 어느 대기업 힘 있는 집단이 국회의원에 로비를 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핀테크 운운하면서 새로운 산업을 OPT 등 보안수단이 저해한다는 것인데...금융업무 할때 사고 나면 기업에서 다 보상해 주는 법은 있는거죠?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그런 법이 없다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아니라면 OPT 등의 안전한 보안장치 사용을 의무화 해야 범죄로부터 서민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지 않을까요?

 

 

신토익, 대학생·취준생 '골머리'..반감지수↑

수험자 입장에서 신토익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시간 분배', '바뀐 유형 풀기'(28.6%), '파트별 늘어난 문항 수 적응'(18.0%), '심리적 압박'(15.5%) 순이었습니다.

기존 구토익의 변별력이 떨어져 바뀐 신토익으로 점수를 따야 하는 취준생의 부담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변화의 상황일 수록 기초영어의 중요성, 내공영어의 중요성을 더욱 실감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말 많던 '휴대폰 보조금 상한액' 없애기로

<자료출처 : 조선일보>

핸드폰 약정이 오늘부로 만료되어 새폰을 알아보고 있는데 조금 더 관망해 봐야 겠습니다. 말 많은 단통법이 없어지면 보조금 전쟁이 다시 시작될 것이고, 그럼 다시 핸드폰이 싸지기 때문이죠. 기사에는 정확한 시기는 나오지 않았으나 예감으로는 올 8월 전후로 법이 개정되어 보조금 상한액이 철폐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