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건설 개요 및 연혁
계룡건설은 리슈빌이라는 아파트브랜드를 가진 대전 기반 종합건설회사이다. 1978년 대전에서 건설업을 시작한 계룡건설은 건축부문의 매출이 50%가 넘으며, 토목 35%, 기타 사업을 가지고 기업을 영위하고 있다.
기업개요
1978년 설립되어 1996년 상장하였으며 건축 및 토목부문에서 도급공사 및 자체공사를 실시하고 있고 다양한 시공경험과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국내 도급순위 23위 건설사로서 성장
사업부문은 건축계약공사부문, 토목계약공사부문, 분양부문, 유통부문, 휴게소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있음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은 고속도로상에 휴게시설을 설치 후 식음료 및 유류 등을 판매하는 사업으로 휴게소 14개소, 주유소 8개소를 운영하고 있음
연구개발 실적으로는 유공강판 연결재를 이용한 강관말뚝머리보강 공법 등이 있음
매출구성은 건축계약공사 56.48%, 토목계약공사 22.70%, 유통 9.21%, 분양 10.28%, 기타 1.32%, 해외 0.25%, 내부거래 제거 -0.24% 등으로 구성
2016년도 시평순위 기준 계룡건설산업(23→17위)은 1조5819억원→1조5899억원의 시공능력평가액을 기록하며 전년도 대비 약진했다. 당연히 대전지역 건설사 중에서는 시평액이 1위이다.
시공능력평가 제도는 건설업체의 공사실적, 재무상태, 기술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평가해 공시하는 제도로, 공공공사의 등급별 유자격자 명부제, 중소업체의 균형발전을 위한 도급하한제 등의 평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계룡건설 CEO와 재무실적
1970년 계룡건설을 설립한 이인구 명예회장은 육군 중령 출신으로서 충청권을 대표하는 건설사로 자리잡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2013년 기준 영업손실 501억을 기록하는 등 실적이 좋지 않았다.
뒤이어 2014년 이인구 회장의 아들 이승찬 사장이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후 주택시장의 활황으로 매출을 끌어 올렸으며 해외사업도 재개하여 1억달러 이상의 수주실적을 올렸다.
올 1분기 매출은 3714억, 영업이익은 89억을 기록했다.
이승찬 사장은 76년생으로 연대 경제학과를 졸업 후 산업기능요원으로 두산건설에 입사해 3년간 근무했다. 이후 2002년 계룡산업에 이사로 입사했다. 이 사장이 가진 계룡건설산업의 지분은 14%, 이인구 명예회장의 지분은 16.7%이다.
본사위치 및 조직도


사업 추진실적
뉴스테이나 자체 아파트 사업 등 2016년도 들어 수익성이 솔솔한 사업을 수주하고 있다. 건축업 뿐만 아니라 서울 마곡중앙공원 조성공사(575억원) 등 토목사업도 수주하며 활발한 기업활동을 진행중이다. 14~15년에는 굵직굵직한 군부대 시설공사(천억원대)를 수주하여 공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계룡건설 홈페이지에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으나 이러한 소식은 뉴스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아래는 홈페이지에 게시된 아파트 사업 진행현황이다.
분양중인 아파트
포항 초곡리슈빌 |
 |
포항 |
 |
104㎡ / 84.88㎡ / 84.99㎡ /
|
 |
646세대 |
 |
2015년 11월 27일 M/H OPEN | |
 |
대전 리슈빌 학의 뜰 |
 |
대전시 유성구 계산동 학하지구 138-1 |
 |
100㎡ / 128㎡ / 85㎡ /
|
 |
704세대 |
 |
*일부 잔여세대 선착순 분양중! 즉시 입주 가능
|
|
공사예정 아파트
 |
 |
 |
 |
 |
2016.07.01 |
고양 향동리슈빌 |
경기도 고양시 향동동 일원 |
74.46㎡ |
99.12㎡ |
359 |
80.82㎡ |
107.29㎡ |
11 |
84.98㎡ |
113.16㎡ |
365 |
84.99㎡ |
113.27㎡ |
118 |
84.81㎡ |
113.33㎡ |
116 |
계 |
969 | |
자체 |
공사중인 아파트(홈페이지 기준)
부산 센텀 리슈빌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938 일원 |
 |
. . |
 |
| |
 |
계룡건설의 주가 및 실적
계룡건설은 부진한 실적을 털고 턴어라운드한 기업이다. 그만큼 주가는 반등세를 유지하며 오르고 있는 중이다. 7~8천원 정도의 주가가 낮은 수준이며 그때 대비 50% 이상 올랐다. 그때라 봐야 1년 전이다.

2014년까지 영업손실을 보다가 15년 부터 영업이익을 내기 시작했다. 물론 부동산 경기가 언제 다시 얼어 붙을지 모르지만 16년 1분기까지는 영업이익율 2%대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피 상장사인 계룡건설을 살펴 봤다. 아파트 분양사업 비중이 큰 건설사의 경우 부동산 냉각기에 손실을 많이 본다. 반대로 요즘처럼 부동산 활황기의 경우 이익을 충분히 낼 수 있다.
이런 경기의 흐름을 파악한 다음 업종과 종목을 선제적으로 선택/발굴하는 행위야 말로 투자의 정석이라 할수 있다.
지난 시간까지 큰 숲을 봤으니 이제부터는 나무를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향동지구의 가능성과 장점에 대해 후한 점수를 준 당신이 선택해야 할 아파트가 있습니다.
바로 계룡리슈빌과 호반베르디움입니다.
두 아파트 다 향동지구 초입에 위치하고 있고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두 아파트의 장단점을 비교해 선택하시는데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향동지구 개요
향동지구와 지축지구 비교표입니다. 향동지구 개요가 잘 정리되어 있어 준비해 봤습니다. 향동지구 일반분양 4355세대 중 이번 계룡과 호반이 거의 4000 세대 가까이 건설합니다.

분양가는 두 건설사 모두 1300선 전후가 지배적입니다.
건설사에서 홍보하는 전략 중 하나는 인근 상암의 전세가보다 더 싼 가격에 입주할 수 있다는 점을 강하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일단 일반분양 단지 4천세대를 2019년 내 완공하고 나머지 공공임대 주택은 LH가 부동산 시장 수요에 따라 착공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여차 분위기만 좋으면 A2를 가지고 있는 중흥건설도 분양 및 착공에 뛰어들겠지만 여긴 좀 약점이 있는 것이 전용면적 기준 60 이하라 수요층은 그리 두텁지 않을 꺼라 생각합니다.

두 아파트 다 판상형인 구조가 마음에 들어요. 남향에 판상형은 볕이 잘 들어 좋죠. 한때 타워형이 인기였지만 타워형은 인공적으로 냉난방을 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들어요. 아파트는 역시 판상형/남향입니다.
그리고 녹지(산)과 둘러쌓여 있는 점도 좋죠. 공기 좋고 시원할 껍니다.
내가 제일 가깝다 - 계룡리슈빌
계룡리슈빌은 향동지구의 가장 초입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게 가장 큰 장점이라 할수 있죠. 하지만 장점은 개인에 따라 단점으로도 느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향동지구 초입에는 나름 기피시설이라 할 수 있는 은평버스공영차고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쓰레기 관련 처리시설도 있구요.
교통이 나름 편리할 수 있는 반면, 이런 저런 유해시설과 가까이 있음으로 인해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또한 단지가 1000세대가 안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인 점도 단점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 가치를 부여하는 요소 중 하나가 대단지인 경우인데 이번 계룡리슈빌은 중소단지라 할수 있겠습니다.
건설사 및 아파트브랜드가 조금 떨어지는 것도 걸리긴 합니다. 이번 향동지구에 공동주택 부지를 분양받은 건설사는 다들 어렴풋이 알고 계신 중소 건설사입니다. 계룡건설은 대전을 기반으로 한 지방건설사입니다.
너무 단점에 치중한듯 한데 마지막으로는 멋진 장점 하나를 내세우겠습니다. 바로 분양가 입니다. 현재 지배적인 분양가는 1270만원입니다.(발코니 확장비 별도) 경쟁아파트인 호반베르디움의 분양가가 아직 나오진 않았지만 이보다 더 비쌀꺼란 예측도 무성합니다. 이 착한 분양가가 계룡리슈빌의 장점 중 장점이 되겠습니다.


호반의 B3, B4와 비교해서 부지면적도 작아 보입니다.




평면과 인테리어가 궁금하긴 한데 오는 6월 30일(목요일) 모델하우스가 오픈한다고 하니 주말에 한번 다녀와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요즘 모델하우스는 구경꾼은 엄청 많은데 막상 열어보면 미분양이니....ㅎㅎㅎ

나름 초입의 대단지 - 호반베르디움
계룡리슈빌은 향동지구의 가장 초입을 계룡리슈빌에 내 주고 그 다음 자리에 앉잤습니다. 그리 많이 떨어 지지도 않았거니와 그래 봤자 역세권 아닌건 매한가지라, 어차피 지하철 타려면 같은 버스 타야 하는 운명이라 괜찮습니다.
초초입을 내주고 호반이 얻은 건 바로 대단지, 대규모 아파트입니다. 조금 떨어진 B2를 별도로 취급한다 하더라도 B3, B4 세대수만 1600세대입니다. 여기에 B2를 더하면 2천세대 채우는 거죠.
이 대단지라는 장점이 향후 부동산시장에서 가격방어도 되고 매매유동성도 있을 법 합니다.

제가 보는 호반의 장점 중 하나가 바로 초등학교를 품고 있다는 점이죠. 큰길을 안건너고 초등학교를 갈수 있다는 것은 학부모로서 안심이 되는 장점 중 하나입니다.

호반베르디움 모델하우스 정비하고 있는 거 봤는데 한창 준비중이더군요. 기존 분양아파트(삼송지구 등) 분양 끝나고 그 모델하우스 재탕하는 것 같더라구요.
호반은 7월에 모델하우스 오픈 및 분양을 시작한다고 하니 여기도 한번 가봐야 겠어요.
끝으로 건설사 도급순위를 살펴 보겠습니다. 도급순위란 건설사 규모별로 공사계약할 수 있는 한도액 순위를 매긴 것입니다. 일테면 작은 건설사가 아주 큰 공사를 하겠다고 덤볐다가 부도나거나 할 우려가 있으니 공사한도액을 정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호반건설 15위, 계룡건설 23위입니다.
출처 : http://www.worker.co.kr/link/2002R100.asp
2015년 시공능력순위 Top 100 (단위: 원)
*업체명을 클릭하면 해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이 순위는 2015년 8월 1일 부터 2016년 7월 말까지 국내건설공사 수주에 적용됩니다. |
순위 |
회 사 명 |
토건 시평액 |
전년도 순위 |
지역 |
1 |
삼성물산(주) |
16조 7,267억 |
1 |
서울 |
2 |
현대건설(주) |
12조 7,722억 |
2 |
서울 |
3 |
(주)대우건설 |
9조 6,706억 |
5 |
서울 |
4 |
(주)포스코건설 |
9조 426억 |
3 |
경북 |
5 |
지에스건설(주) |
7조 9,022억 |
6 |
서울 |
6 |
대림산업(주) |
6조 9,455억 |
4 |
서울 |
7 |
롯데건설(주) |
5조 7,997억 |
7 |
서울 |
8 |
에스케이건설(주) |
5조 6,121억 |
8 |
서울 |
9 |
현대엔지니어링(주) |
4조 8,310억 |
10 |
서울 |
10 |
현대산업개발(주) |
3조 9,203억 |
13 |
서울 |
11 |
(주)한화건설 |
3조 5,637억 |
9 |
경기 |
12 |
(주)부영주택 |
2조 9,293억 |
16 |
서울 |
13 |
두산건설(주) |
2조 4,456억 |
11 |
서울 |
14 |
두산중공업(주) |
2조 3,937억 |
12 |
경남 |
15 |
(주)호반건설 |
2조 1,520억 |
15 |
광주 |
16 |
(주)한라 |
1조 9,885억 |
17 |
서울 |
17 |
금호산업(주) |
1조 8,221억 |
20 |
전남 |
18 |
제일모직(주) |
1조 8,192억 |
27 |
서울 |
19 |
코오롱글로벌(주) |
1조 8,118억 |
18 |
경기 |
20 |
쌍용건설(주) |
1조 7,728억 |
19 |
서울 |
21 |
(주)태영건설 |
1조 7,491억 |
14 |
경기 |
22 |
삼성엔지니어링(주) |
1조 6,498억 |
29 |
서울 |
23 |
계룡건설산업(주) |
1조 5,819억 |
21 |
대전 |
24 |
(주)한 양 |
1조 5,587억 |
23 |
인천 |
25 |
(주)케이씨씨건설 |
1조 4,911억 |
28 |
서울 |
26 |
(주)한진중공업 |
1조 4,498억 |
22 |
부산 |
27 |
동부건설(주) |
1조 4,059억 |
25 |
서울 |
28 |
한신공영(주) |
1조 4,011억 |
24 |
경기 |
29 |
경남기업(주) |
1조 2,549억 |
26 |
충남 |
30 |
(주)서희건설 |
9,848억 |
30 |
경기 |
31 |
(주)삼 호 |
8,823억 |
46 |
인천 |
32 |
고려개발(주) |
8,611억 |
31 |
경기 |
33 |
신세계건설(주) |
8,225억 |
36 |
서울 |
34 |
(주)효 성 |
7,873억 |
42 |
서울 |
35 |
(주)동일 |
7,770억 |
40 |
부산 |
36 |
(주)동원개발 |
7,455억 |
41 |
부산 |
37 |
우미건설(주) |
7,312억 |
39 |
전남 |
38 |
(주)포스코엔지니어링 |
7,291억 |
38 |
경기 |
39 |
중흥건설(주) |
7,112억 |
52 |
전남 |
40 |
삼환기업(주) |
7,079억 |
33 |
서울 |
41 |
대우조선해양건설(주) |
7,011억 |
44 |
인천 |
42 |
삼부토건(주) |
6,947억 |
35 |
서울 |
43 |
진흥기업(주) |
6,856억 |
51 |
인천 |
44 |
극동건설(주) |
6,696억 |
34 |
충남 |
45 |
화성산업(주) |
6,593억 |
47 |
대구 |
46 |
한림건설(주) |
5,991억 |
58 |
경남 |
47 |
중흥토건(주) |
5,805억 |
82 |
전남 |
48 |
(주)서브원 |
5,764억 |
37 |
서울 |
49 |
대방건설(주) |
5,677억 |
53 |
경기 |
50 |
(주)반도건설 |
5,625억 |
57 |
인천 |
51 |
삼성중공업(주) |
5,296억 |
32 |
서울 |
52 |
(주)케이알산업 |
5,122억 |
56 |
경기 |
53 |
에스티엑스건설(주) |
4,919억 |
48 |
경남 |
54 |
대보건설(주) |
4,815억 |
54 |
경기 |
55 |
(주)라 인 |
4,805억 |
68 |
전남 |
56 |
(주)이테크건설 |
4,745억 |
66 |
서울 |
57 |
울트라건설(주) |
4,652억 |
43 |
서울 |
58 |
신동아건설(주) |
4,545억 |
55 |
인천 |
59 |
남광토건(주) |
4,539억 |
50 |
서울 |
60 |
(주)서 한 |
4,440억 |
74 |
대구 |
61 |
아이에스동서(주) |
4,436억 |
69 |
서울 |
62 |
양우건설(주) |
4,052억 |
70 |
서울 |
63 |
경동건설(주) |
3,987억 |
59 |
부산 |
64 |
(주)금성백조주택 |
3,878억 |
67 |
대전 |
65 |
동아건설산업(주) |
3,840억 |
49 |
서울 |
66 |
요진건설산업(주) |
3,687억 |
84 |
강원 |
67 |
이수건설(주) |
3,601억 |
73 |
서울 |
68 |
풍림산업(주) |
3,528억 |
45 |
서울 |
69 |
(주)대명건설 |
3,475억 |
62 |
경북 |
70 |
금광기업(주) |
3,373억 |
64 |
전남 |
71 |
(주)금강주택 |
3,262억 |
76 |
서울 |
72 |
(주)서해종합건설 |
3,240억 |
71 |
서울 |
73 |
삼보이엔씨(주) |
3,222억 |
78 |
부산 |
74 |
(주)흥 화 |
3,217억 |
61 |
경북 |
75 |
한일건설(주) |
3,213억 |
65 |
서울 |
76 |
동원건설산업(주) |
3,162억 |
77 |
경기 |
77 |
(주)파라다이스글로벌 |
3,127억 |
88 |
부산 |
78 |
일성건설(주) |
3,085억 |
60 |
인천 |
79 |
제일건설(주) |
3,077억 |
94 |
전남 |
80 |
(주)서령개발 |
2,993억 |
109 |
광주 |
81 |
(주)대저건설 |
2,963억 |
86 |
경남 |
82 |
(주)우남건설 |
2,754억 |
157 |
경남 |
83 |
(주)협성종합건업 |
2,727억 |
80 |
부산 |
84 |
에이스건설(주) |
2,715억 |
83 |
서울 |
85 |
티이씨건설(주) |
2,708억 |
75 |
경기 |
86 |
(주)건영 |
2,673억 |
85 |
서울 |
87 |
한국전력기술(주) |
2,650억 |
81 |
경기 |
88 |
씨제이건설(주) |
2,621억 |
92 |
경기 |
89 |
남해종합개발 |
2,616억 |
87 |
전남 |
90 |
동문건설(주) |
2,563억 |
89 |
서울 |
91 |
강산건설(주) |
2,410억 |
95 |
서울 |
92 |
(주)화성개발 |
2,391억 |
98 |
대구 |
93 |
동광건설(주) |
2,365억 |
97 |
전남 |
94 |
(주)대 원 |
2,362억 |
72 |
충북 |
95 |
남양건설(주) |
2,318억 |
91 |
전남 |
96 |
(주)동양건설산업 |
2,263억 |
63 |
경기 |
97 |
(주)원 건 설 |
2,246억 |
101 |
경기 |
98 |
남화토건(주) |
2,228억 |
93 |
전남 |
99 |
(주)모아종합건설 |
2,202억 |
90 |
광주 |
100 |
혜림건설(주) |
2,180억 |
107 |
광주 |
Comments
어디서 많이 들어봤다 했는데, 대전 사시는 형님네 아파트 건설사 이름이었네요ㅎㅎㅎ여러 도시에도 꽤 많이 지었네요. 건설사 역시 경기 흐름과 밀접할 수 밖에 없고 또 민감한 파트 중 하나같아요. 주식 공부가 경제 공부에 도움이 꽤 되겠네요. 점심 맛있게 드시길요^^
저.. 계룡건설 처음 들어봤어요. ㅠ
이렇게 오래된 회사인데.. ㅋ
오늘도 여전히 덥네요.. 밥먹으러 잠시 나갔다 들어오는데 땀이 납니다.
항상 건강 잘 챙기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