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주말 동네 형님을 따라 배드민턴을 치러 갔습니다. 운동 후 그 형님 클럽분들하고 점심을 먹으러 가면서 통성명을 하는 자리에서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한 분께서 무슨 띠냐고 제게 묻습니다. 저는 "나이는 XX, 띠로는 양띠입니다"라고 말씀드렸더니 그 분께서는, 그리고 다른 분께서는 주민등록상 몇년생이냐고 묻습니다. 띠를 물어봐서 그냥 띠만 말씀드렸으면 이런 혼돈이 없었을 터인데 괜시리 나이까지 말씀드려서....라는 후회를 했지만서도...분명 띠만 말씀드렸어도 '그럼 나이가 XX인가? '라고 되물으셨을 것입니다. 그럼 제가 또 나이를 말씀드리면 '어...나이가 XX-1 아닌가?'라고 되물으셨을 것 같네요.

 띠에 대해 제가 가지고 있는 개념은 이렇습니다. 띠는 서양에서 기원한 것이 아닌 동양문화이기 때문에 음력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믿었습니다. 그래서 1월생인 저의 띠는 양력 동년생하고는 1띠 빠른 띠를 지니게 된 것이죠.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것인지...만물박사에게 물어 보았습니다.

인터넷에도 저와 유사한 고민을 몇십년간 한 사람들이 수두룩하더군요. 특히하고도 신뢰할 만한 글을 일고 종합해 본 결과 띠의 기준은 바로 "입춘"이라는 것입니다.

아래 기사는 1978년 경향신문에 기재되었습니다. 멋모르고 띠를 양력에 결부지시는 것은 무식한 처사란 것이 골자입니다.

또다른 신뢰도 높은 문헌을 제시하겠습니다.

<의심많은 교양인을 위한 상식의 반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띠에 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띠는 음력설을 기준으로 한다? 그렇지 않다. 엄밀하게 따져 음력설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 음력설이 되면 해가 바뀌어 새해가 되지만 띠는 요지부동이다. 띠는 태양력도 아니고, 태음력도 아니다. 띠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정하는 절기력()을 기준으로 한다. 절기력은 태양의 황도(, 태양이 움직이는 길)에 따라 매겨진다. 입춘()을 시작으로 해서 대한()으로 끝나는 24절기는 정확히 양력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띠는 음력설이 기준이다? (의심 많은 교양인을 위한 상식의 반전 101, 2012. 9. 24., 끌리는책)

 

그래서 내린 결론은 띠를 구분하는 달력은 양력이 아닌, 그렇다고 정확히 음력도 아닌 정답은 '입춘'입니다. 입춘이 매년 바뀌긴 하지만 그래도 음력설 전후로 있으니 음력 기준의 띠구분을 한다 해도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여러분들은 띠를 물어 보며 양력기준으로 구분하는 우를 범하지 맙시다. 띠는 동양문화이며 동양문화는 음력기준이고, 띠의 기준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하는 절기, 다시말해 입춘을 기준하기 때문입니다. 띠를 물어보지를 말던지~~~

반응형

 

 



 



 

반응형

혹시 배울 시간은 있는데 학원 다니거나 인터넷강의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스러우신가요?

대한민국의 대표도시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서울시평생교육포털에서

교육의 기회를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따로 하지 않으셔도 비회원 공개강의 일부를 받으실 수 있으며

회원가입시 사이버강좌에 계설된 수많은 강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모바일 앱(웹)도 있으며 앱만 다운받으면 핸드폰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앱은 마켓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가장 핵심인 사이버 강좌 목록입니다.

카테고리는 인문학교실, 취업/자격증 교실, 외국어교실, 가족/건강교실, 정보화교실, 베이비부머 교실, 공개강의로 구분됩니다.

자세한 목록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courseList.xls

 

또한 서울시민대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이버강좌는 아니고 오프라인 강좌입니다.

 

 

강의장소가 서울시청, 강남대치동, 은평이며 평생학습포털에서 선착순 온라인신청하여 진행합니다.

각 대학별 연계강의도 있습니다. 아래 자료를 살펴 보시면 되겠습니다.

 

일주일에 두번 강의하며 주로 일하는 시간대에 일정이 있어

직장인이 다니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듯 합니다.

퇴직하신 분들이 이용하시면 괜찮은 교육 프로그램인 듯 합니다.

 

저는 항상 저보다 더 못한 환경에 있는 이들, 고아들, 못사는 이들을 위해

도움을 주고싶습니다. 이 사이트를 소개하는 것도 그 일환이죠.

그들에게는 금전적 지원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국가는 국민의 세금으로 예산을 투입하여 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한테도 해당되는 이야기이지만 조금 쉬고 싶은 마음, 인생이 어떻게든 흘러가겠지 하는 마음에

오늘 하루, 이번 해를 남는 것 없이 보낸다면

자신의 인생은 그 자리, 혹은 더 참담한 환경에 처해 질 것입니다.

국가가 당신에게 주는 혜택을 활용하여 자신을 가꾸고 발전시킵시다.

 

서울시평생학습포털 바로가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