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기사를 간추려 링크하였습니다.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기사로 연결됩니다. 기사 밑은 저의 의견을 기재하였습니다.
30대 이상의 여성이 소비하는 명품 브랜드는 루이뷔통(34.5%·중복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구찌(33.9%) △버버리(29.9%) △샤넬(29.9%) △코치(26.3%) △프라다(24.6%) △페라가모(17.1%) 순이었다. 그럼에도 명품브랜드의 매출은 예전같지 않아 보인다. 샤넬이 TV광고를 시작했으니 말이다.
<자료출처 : 세계일보>
주로 명품의 구매장소는 백화점 명품관(47.7%·중복응답)과 면세점(45.3%)이었다. 백화점이 아직 건재한 이유가 있었군. 명품을 보지도 않고 인터넷으로 팔리 만무하거니와 인터넷으로 유통하는 라인은 차단시키지 않았을까?
케이블 채널의 광고매출이 지상파 매출보다 높은 시대가 도래했다. 혁신과 도전이 가져온 결과가 아닐까? 그동안 지상파 방송 3사의 지지부진한 방송컨텐츠로 고전하는 사이 Tvn 등의 케이블채널이 내놓은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대반전을 예고한 바 있다.
역시 주가도 매출과 함께 껑충 뛴 모습이다. 2년 전 2~3만원 할때 가지고 놀던 주가가 이렇게나 오르다니....
최근의 매수시점은 4월 중순께였다. 역시 물건이나 주식은 가치를 보는 눈을 키워야 한다.
반응형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금연캠페인 가운데 김정은은 흡연중 (4) | 2016.06.10 |
---|---|
랜섬웨어 예방방법, 청소년의 보이스피싱, 신용카드 더치패이로 식당가 몸살 (6) | 2016.06.10 |
포스트오일 시대를 준비하는 에너지기업, O2O사업의 미래, 육아로 포기하는 직장생활 (0) | 2016.06.07 |
대우조선의 자구안 내용, 개미투자자 실패이유, 카카오드라이버 후기 (2) | 2016.06.03 |
커피전문점 공부 잘되는 이유, 곡성공무원 사망사고 (4)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