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음이 몸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다 하는 사실. 하지만 여러 핑게로(혹은 핑게가 아닐 수도 있지만...)과음하게 되고 몸은 비정상 상태로 놓이게 된다. 어떻게 하면 숙취를 해결할 수 있을까?

물 마시기

일상에서 할수 있는 가장 간단한 숙취해소 방법은 물을 많이 마시고 잠을 많이 자는 것이다. 술을 마시면 몸에서 이를 해독하기 위해 몸 속의 물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 갈증이 난다고 찬물을 많이 마시면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날 수도 있다. 따뜻한 꿀물 정도가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는 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휴식과 수면, 그리고 금주

숙취해소에 꼭 필요한 것이 바로 휴식이다. 다음날 쉴수 있는 여건이면 그냥 쉬면 되겠지만 직장생활을 해야 하는 직장인은 평소보다 잠을 많이 자도록 하고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잠을 자며 최대한 몸을 쉬게 하는 것이 현실적인 숙취해소의 방법이다. 다음날 해장술 또는 저녁술을 먹는 것은 숙취 해소에 전혀 도움이 안되니 최대한 술약속을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숙취해소를 위한 숙취해소제 등 약물 복용은 도움이 될까?

술을 먹은 다음날 숙취 때문에 약을 먹는 것은 어떨까? 특별한 숙취해소법은 없다는 것이 의학계에서도 정설인데 약으로 숙취를 해소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숙취해소제가 도움이 된다는 이들이 많이 있는데 맹신은 금물이다. 플라시보 이팩과도 같은 효과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근본적인 숙취해소는 음식, 휴식, 물로 자신을 다스리는 자연요법이 가장 좋다.

 

지압법

술먹은 다음날 구역질이 나거나 속이 불편한 경우 지압하는 방법도 있다.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고 손목 아래 2~3cm 위치를 지그시 눌러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한 한의사가 권한 바 있다. 이 자리는 내관혈 자리인데 여기를 반복해서 누르면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술자리에서의 전략-술 덜 취하는 법

술 먹기 전 식사를 충분히 한 후에 마시면 숙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술을 마실 때 천천히 마시는 것도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방법이다. 안주는 많이 먹어야 술 덜 취하는 건 당연한 사실. 괜찮다고 알려진 안주는 두부, 수육, 과일, 등푸른생선 등이다. 이런 안주는 신체를 중화시키는데 좋다고 한다. 술은 1종류로만 마시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술자리에서 틈틈히 물을 마셔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물과 당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혹시 숙취가 너무 심해 두통 등으로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다면 한의원이나 병원을 찾아 의사의 진단을 받을 것을 권유한다.

반응형

 

 



 



 

반응형

겨울철 낙상사고 발목다리 접질렀을 때 삐었을 때 찜질 치료법

발목이나 무릎, 손목이 접질린 경우 의학적으로는 염좌라고 합니다. 이 경우 모든 것이 그렇지만 초기대응/조치가 중요합니다. 그냥 방치하는 경우, 참는 경우 인대가 늘어난 상태에서 퇴화되어 습관적으로 접질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치료방법

발목이 삐끗한 경우 2~3일 간 관리를 잘 해 주면 쉽게 나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아주 아프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치료를 받아야겠지만 그 정도가 아니라면 얼음을 이용하여 냉찜질을 하고 파스나 멘소레담 등 소염진통제를 이용하여 치료하시면 됩니다. 붓기가 빠지기 시작하면 가볍게 부상부위의 맛사지나 스트레칭도 병행하시면서 부상부위를 관리합니다. 충분한 휴식도 필요한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냉찜질해야 하나? 온찜질 해야 하나?

모르는 경우 온찜질을 하는 분도 계신데 바른 치료법이 아니다. 접질린 부위를 온찜질 하면 염증을 심하게 하고 증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1~2일 정도 냉찜질하여 부상부위의 혈류량을 줄게 하게 한다. 그러면 회복이 빠르다. 얼음찜질을 20분 단위로 하루 3~4회 정도 하는 것이 좋다.

 

등산중 운동중 발목을 부상당한다면 응급처치법

발목을 움직여 보고 움직일 수 있다면 찬 손수건, 수건 등으로 묶고 하산/귀가하면 된다. 위 방식처럼 부상부위의 혈류량을 줄여 부상부위를 진정시키는 효과이다. 귀가시에는 가급적 움직이지 않거나 체중을 싣지 않는 것이 좋다. 집에서는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주는 것이 좋다.

 

예방방법

평상시 충분한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몸이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의욕만 앞서 무리하게 움직이면 몸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