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순간의 판단 실수가 쌓이면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살다 보면 판단을 하게 되고 그 판단이 항상 자신에게 옳은 판단으로 돌아 오는 것은 아니다. 그릇된 판단이라 할지라도 자신을 둘러싼 내외부적 환경을 이유로 자신의 판단을 합리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치명적인 판단의 실수가 있다. 그런 실수는 두고 두고 머리 속에 남으며, 해본들 소용없는 후회를 떠올리게 된다.

 

 

 

운동을 하다가 집에 가야하는 시간이 되어 가야 했었는데 운동을 더 해서 다음 일정이 꼬였던 기억, 술자리를 하다가 끊고 집에 가야 하거나 다음 일정의 장소로 이동해야 했지만 술자리에서 더 시간을 보내서 다음날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불상사가 생겼던 것은 순간의 판단을 잘못해서 벌어진 실수였다. 실수에 따른 파장이 클 수록, 죄책감은 배가된다.

 

이런 실수는 왜 하게 되는 것일까? 뭔가를 하고 싶은 욕구절제를 못하거나, 인간관계를 매정하게 끊을 수 없어 판단의 실수를 할 수 있다. 물론 자신도 모르게 저지르는 실수는 제외하고 말이다.

비슷한 실수를 자주 하면 할수록 실수에 따른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산업안전으로 보면 하인리히의 법칙과도 같은 비율로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300번의 피해를 입을 번한 실수가 모이면 그 중에는 29번의 작은 피해를 입고, 그 중 1번은 큰 피해를 입는다는 사고의 발생비율처럼 실수는 모여 큰 피해를 낳게 되는 것이다.

 

작은 실수들을 간과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징후와 전조들을 보이며 실수에 따른 큰 실패나 피해를 경고하면서 이에 대해 대비를 하는 사람에게는 무사히 지나가고, 무시한 사람에게는 작은 피해 가운데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실패는 용서해도 잦은 실수는 용서할 수 없다' 실패도 할 수 있고 실수도 할수 있다.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 인간이니까 실수도 하게 마련이다. 또한 실패를 통해 큰 틀의 성공을 완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슷한 부류의 반복된 치명적인 실수는 훗날 인생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실수가 무엇이 있는지 잘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2018/04/12 - [몸건강 마음건강] - 2018년 목표 중간점검-독서, 영어공부, 시간관리

2018/03/17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이 답답할 때, 성취를 위해,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

2018/02/26 - [정보기술과 블로그 운영] - 내 인생의 SNS,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계기

2018/02/22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교훈, 인생이 힘들때 다짐

반응형

 

 



 



 

반응형
2018년 목표 중간점검-독서, 영어공부, 시간관리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 시간을 낼 수가 없다. 영어공부와 더불어 독서는 올해 목표건만 1/3의 기간이 지나도록 책을 읽지 못했다. 나에게도 모두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24시간이 주어지고 있는 것은 변함이 없지만 책 읽을 시간이 없다는 것은 다른 시간에 밀린다는 것. 우선순위로 독서를 설정해야 책이 읽어 지는데 그걸 못하고 있다.

 

 

 

일단 독서를 할 수 없는 핑게를 대 보자. 절대시간 측면에서는 잠자는 시간 외에는 쉼없이 뭔가를 하니 안정권이라 할 수 있다. 건강이 버티는 한 지금보다 더 수면시가간을 줄이기는 어려울 듯 하다.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과 심야시간 밖에 없는데, 출근시간은 새벽버스라 힘들고, 퇴근시간은 서서 오기도 하거니와 심신이 지친 상태라 동영상을 보는 것이 최적이라 판단했다.

 

 

심야시간에는 틈 나는대로 글을 쓰기 때문에 책 읽는 시간이 뒤로 밀리는 것이다. 주말에는 시간이 좀 여유로우니 주말시간을 활용하는 수밖에 없는듯 하다. 핸드폰 만지작거리는 시간에 책을 읽어보자.

 

 

 

영어공부의 목표는 라디오토익과 아리랑뉴스였지만 라디오토익을 듣는 것은 현실상 너무 무리한 계획이라 포기했다. 아리랑라디오라도 밀리지 않고 하루 1개씩 듣는 것으로 목표를 수정했는데 자꾸 밀리고 있다. 틈 나는대로 일상시간에 뉴스를 확인하고 듣고 모르는 단어는 찾아보자. 앞서 언급한 독서와 영어는 평소에 꾸준히 해야 축적되어 실력이 나타나는 목표가 아니던가? 지금이라도 어떤 식으로건 아리랑뉴스를 체계화하자. 반복학습을 위해 아리랑뉴스(5분)를 녹음하며 의식적으로 1회 청취하고 이후 스크립트를 보면서 독해해 보자. 그리고 독해한 내용을 글로 남기자. 도보시, 잡일 처리시 반복적으로 듣으며 리스닝 연습을 하자. 단순한 계획이라 할지라도 꾸준한 의지로 실행한다면 이 노력이 켜켜히 쌓여 훗날 큰 성과를 낼 것으로 믿고 있다.

 

그 밖에 관심있는 분야의 홈페이지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글감을 찾고 글을 쓰는 목표도 있는데 이거 하루가 24시간이라도 모자라다고 핑게 대지 말고 어떻게든 시간을 잘 계획해서 잘 해보자. 다른 능력있는 분들의 시간관리, 목표관리 사례를 살펴 보는 것도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일 것이다. 글도 쓰고 책도 읽고 책도 출판하고 양육도 하고 건강관리도 하고 대인관계도 하는 위인이 내 주위에서 있지 않는가?

 

2018/03/17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이 답답할 때, 성취를 위해,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

2018/02/22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교훈, 인생이 힘들때 다짐

2018/01/16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목표, 인생을 살아가며 남는 것

2018/01/12 - [몸건강 마음건강] - 본능에 충실한 삶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