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주말엔 뭐하고 보내지? 주말나들이, 아이와 함께, 주말알바 등
주말은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해 일요일 밤에 끝이 난다. 시간의 범위는 이렇지만 금요일 저녁의 시간과 일요일 밤에 느끼는 체감시간은 천차만별이다. 금요일 저녁에는 웬지 시계의 초침이 느리고 여유롭게 느껴 지지만, 일요일 밤의 시계침은 내일의 업무와 회사상사의 얼굴이 떠올라 고통스럽게 째깍인다.

 

 

 

 

전에는 토요일 오전까지 일하던 그런 시대에서 살다가 이제는 토요일/일요일도 모자라 금요일 오전까지 일하고 오후부터 쉬는 방안을 정부차원에서 추진한다고 한다. 사실 한국은 노동시간의 미덕으로 지금까지 살아 왔다. 일이 있건 없건 상사의 눈치를 보며 빨리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고, 또 실제로 일도 많이 했다. 하지만 노동생산성의 성적표는 투입한 노동시간 대비 초라하기만 하다. 여하튼 우리나라도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노동시간을 줄이는 추세이기 때문에 휴가도 많아지고 주말이 길어질 가능성이 많아질 것이다.
그래서 생각하게 되는 것이 '주말에 뭐하지?'

 

 

개인 입장에서도, 조직 입장에서도 그렇겠지만 시간이 주어지면 그 시간을 채울 컨텐츠와 돈이 필요하다. 요즘 사람들이 많이들 하는 캠핑을 예로 들어 보자. 캠핑을 가는데 장비도 필요하고 먹거리, 놀거리 등을 하는데 돈이 필요하다. 가서는 먹고 놀고 쉬는 컨텐츠를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휴식을 즐기기 위해서도 웬만하면 돈이 필요하다. 이런 주말시간을 보내는 건 여유로운 축에 속한다.
주말에 부업을 하는 계획을 잡을 수도 있다. 돈 벌 곳이 없다고 혹자는 말하지만 마음만 먹으면 어떤 일이든 할수 있다. 단지 시간대비 돈의 가치를 따질 뿐이다. 또한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일인지에 따라 일을 선택할 수 있다. 돈을 번다고 생각했으면 짧게 보고 시급이 높은 일을 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제2의 직업이 될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하는 것이 미래 돈벌이의 안전장치도 만드는 일타이피의 전략일 수 있다. 지금은 회사원이지만 나는 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라면 주말에 책읽기와 글쓰기를 통해 SNS 운영하는 부업을 할 수 있다.

요즘 큰 공사현장은 주말에 일을 안하지만 작은 인테리어공사 같은 현장에는 주말인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런 공사현장에서 삶을 체험하는 의미도 부여하고 해서 일을 할수도 있다. 알바 치고는 건설현장 일당은 꽤나 쎄다. 일당은 잡부일을 해도 12만원선이 넘는 현장도 있으니 말이다. 큰 일이 없다면 이렇게 경험도 쌓고 돈도 버는 무언가를 주말에 해 보자. 

 

제2의 직업을 꼭 1의 직업을 버리고 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겸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자. 얼마나 즐거운가? 내가 하고 싶고, 즐기는 것이 나의 제2의 직업이자 돈벌이의 수단이라면? 부동산으로 돈을 벌고 싶은 자에게 주말은 임장을 다니는 것으로 할애할 수 있다. 관심있는 동네를 이곳 저곳 쏘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다녀 와서 이를 분석하는 보고서를 쓰면서 제2의 직업을 키워 나가는 것은 상상만 해도 흥분되는 계획이다. 부업이라는 돈벌이와 자기계발은 이렇듯 연관하여 계획하면 훨씬 그 가치를 배가시킬 수 있고, 지속된다면 이로서 예상치 못한 인생의 기회나 행운으로 인도할 수도 있다.
자녀가 어리다면 자녀의 추억 속에 그럴듯한 부모가 기억될 수 있도록 주말시간을 할애하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다. 우리네 자녀는 우리가 그러하였듯 금새 커버릴 것이다. 지금은 어린 자녀가 내게 놀아달라고, 함께 시간을 보내자고 보채지만, 머지 않아 부모가 자녀에게 제발 시간 좀 내서 밥한끼 하자고 애원하는 날이 올 것이다. 자녀가 떠나기 전에 자녀와의 추억을 만들어 가자. 부모가 주말에 하는 취미생활을 자녀와 함께 할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혹시나 주말부업에 자녀가 함께 할수 있다면 그것도 좋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우려점도 있다. 주객이 전도되어 돈벌이나 취미가 우선이고 자녀와 시간 보내는 것은 그냥 곁다리로 치부될 수 있다. 자녀 우선 취미/부업 나중으로 순서를 두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놀이터를 가서 아이와 함께 노는데 그것으로 돈벌이가 되거나 취미를 가진 부모는 없지 않은가? 자녀를 위해 한강공원을 가서 바람을 쐬며 나도 힐링하는 것은 가능할 지 몰라도 말이다.
주말은 후다닥 가니 지금이라도 계획하여 가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생각되는 그 무언가를 하자.
반응형

 

 



 



 

반응형
기회비용과 기회시간 중심으로 시간관리하는 방법
 시간은 없고 할것, 하고싶은 건 많고....뭘 우선순위로 두고 해야하는지도 헷갈릴 때가 많다. 그럼에도 지나가는 시간에는 나는 무얼 하며 보내고 있고 그 가운데 남는 것도 있고, 잃어버린 것도 있다. 그렇게 내 인생의 흔적들을 남기고 살아가고 있다. 

 

 

 

뭐가 옳은 삶이고 성공한 삶인지는 누가 평가한다 해도 참고만 할 수 있을 뿐 나의 판단이 우선이다. 남의 평가를 너무 신경쓴다면 내 인생은 남의 눈치만 보다가 끝날 것이다. 물론 독불장군이나 눈치없는 사람처럼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사는 것도 문제이긴 하지만 적절히 티 안내게 자신의 주관과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 갈수 있다.
 돈을 쓸 때 기회비용을 생각하듯이 시간을 쓸 때도 기회시간을 생각해야 한다. 가령 돌아오는 주말에 뭘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일정시간을 자격증 강의라고 판단하고 시간을 보낸다면, 그 시간동안 포기해야 하는 시간을 기회시간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운동하는 시간, 지인과 만나 교류하는 시간 등을 포기하고 미래를 위해 자격증 공부를 하는 것이 최선이라 판단하면 포기한 기회시간의 가치보다 더 가치있는 시간, 성과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기회비용 역시 마찬가지 아닌가? 100만원으로 주식투자를 할 수도 있지만 그 돈으로 가족여행 가는 것이 더 가치 있다고 판단하여 가족여행을 가는데 소비했다면 가족여행의 기회비용은 주식투자가 될 것이다. 돈이 아닌 시간이 부족한 이들에게는 기회비용보다는 기회시간에 더 큰 가치판단을 할 수 있다. 시간이 돈보다 귀하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시간에 관한 글을 쓸 때마다 드는 생각은 시간을 허투로 쓰지 않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돈보다 더 소중한 시간을 의미 없이 보낸다거나 쓸데 없는 곳에 소비한다거나 킬링타임한다는 것은 몸을 헤치며 수명을 단축케 하는 행위와 비슷한 듯 하다. 시간을 알차게 보내려면 인생의 목표와 삶을 살아가는데 성취해야 하는 목표, 연간목표, 월간목표, 주간목표, 일일목표가 뚜렷해야 할듯 하다. 목표가 있어야 시간의 우선순위가 정해 지며, 그 가운데 시간을 응집력 있게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다. 돈을 벌기 위해 시간을 쓴다면 사람마다 시급이 다르기 때문에 불공평하기도 하다. 하지만 시간을 돈이 아닌 개인의 가치로 환산한다면 개인마다 공평한 것이다. 물론 시간을 둘러싼 환경, 즉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싶지만 내가 살고 있는 집, 내가 가진 돈 등이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부자도 부자 나름대로 행복한 시간을 위해 돈을 무한대로 쓴다 해도 궁극의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시간은 공평한 걸로 하자. 개인에게 주어진 시간마져 불공평하다면 억울해서 어찌 살겠는가?

 

연관된 포스팅은 아래 참조

2018/04/25 - [몸건강 마음건강] - 순간의 판단 실수가 쌓이면 큰 피해를 입을 수도

2018/03/17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이 답답할 때, 성취를 위해,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

2018/02/22 - [몸건강 마음건강] - 인생교훈, 인생이 힘들때 다짐

2018/04/12 - [몸건강 마음건강] - 2018년 목표 중간점검-독서, 영어공부, 시간관리

2018/02/07 - [자유로 가는 길] - 아침형 인간, 아침 5시의 기적으로 자기계발에 성공하자

2018/01/15 - [몸건강 마음건강] - 주말계획과 실천, 일상의 기록들

2018/01/06 - [몸건강 마음건강] - 내 인생의 안식처, 그리고 재능찾기

 

반응형

 

 



+ Recent posts